◆ 수차사용시
□ 호지는 넓으나 바닥에는 NH3에 의해 새우가 서식 할 수 없음
□ 새우가 측면에 밀집되어 스트레스 조장 및 서로 포식함
□ 반복되는 탈피시나 탈피직후 포식되어 더욱 치명적임
□ 산소가 없는 퇴적층에 투입된 먹이 섭이시 호흡을 위해 상하이동
□ 물방울과 수증기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 및 저층과 상층의 구배현상으로 pH,
온도, DO 등 상하차이 발생 (저층에는 수차의 영향이 거의 없음)
◆ 호지바닥상태(저질)
1) 상층 (10~20㎝) : 갈색색상, 용존산소 적음
□ 유기물질로 소성 (loose)상태
□ 사료, 배설물 등이 분해된 것. 부유생물의 잔해
□ 박테리아들의 군집장소
2) 중층 (5~13㎝) : 갈색+검은색 색상, 용존산소 희박함
□ 유기물과 무기물로 걸죽한 액체 상태
□ 토사ㆍ잔사들의 퇴적물
□ 새우가 잠복해야 되는 곳
3) 최하단 (1~7㎝) : 검은색 색상, 용존산소 없음
□ Fe³→Fe²된 상태로 황화수소 다량 내포. 달걀 썩는 냄새(배수시 느낄 수 있음)
◆ 용존산소 증감 예상치
1) 새우호흡 : 낮 -8소모 밤 -10소모
2) 식물 프랑크톤 : 낮 +70증가 밤 -40소모
3) 대기와 접촉 수면 : 낮 +40증가 밤 +50증가
4) 사료, 배설물 등 : 낮 -50소모 밤 -30소모
5) 증감 평균치 : 낮 +52증가 밤 -30소모
새우는 야행성이나 주로 낮에 먹이를 먹어야되는 현실과 접근하기 어려운 지저분한 저질(산소없고 독성의 암모니아 NH3등)에 투여된 먹이를 섭이해야 되는 새우의 목숨건 삶의 현장 그리고 야행성으로 한참 뛰어놀아야 되나 새벽에는 식물프랑크톤과 배설물등에 의해 산소가 부족하여 호흡하기 힘들고 운동장은 전부 더러운 암모니아로 되어 있습니다.
□ 호지는 넓으나 바닥에는 NH3에 의해 새우가 서식 할 수 없음
□ 새우가 측면에 밀집되어 스트레스 조장 및 서로 포식함
□ 반복되는 탈피시나 탈피직후 포식되어 더욱 치명적임
□ 산소가 없는 퇴적층에 투입된 먹이 섭이시 호흡을 위해 상하이동
□ 물방울과 수증기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 및 저층과 상층의 구배현상으로 pH,
온도, DO 등 상하차이 발생 (저층에는 수차의 영향이 거의 없음)
◆ 호지바닥상태(저질)
1) 상층 (10~20㎝) : 갈색색상, 용존산소 적음
□ 유기물질로 소성 (loose)상태
□ 사료, 배설물 등이 분해된 것. 부유생물의 잔해
□ 박테리아들의 군집장소
2) 중층 (5~13㎝) : 갈색+검은색 색상, 용존산소 희박함
□ 유기물과 무기물로 걸죽한 액체 상태
□ 토사ㆍ잔사들의 퇴적물
□ 새우가 잠복해야 되는 곳
3) 최하단 (1~7㎝) : 검은색 색상, 용존산소 없음
□ Fe³→Fe²된 상태로 황화수소 다량 내포. 달걀 썩는 냄새(배수시 느낄 수 있음)
◆ 용존산소 증감 예상치
1) 새우호흡 : 낮 -8소모 밤 -10소모
2) 식물 프랑크톤 : 낮 +70증가 밤 -40소모
3) 대기와 접촉 수면 : 낮 +40증가 밤 +50증가
4) 사료, 배설물 등 : 낮 -50소모 밤 -30소모
5) 증감 평균치 : 낮 +52증가 밤 -30소모
새우는 야행성이나 주로 낮에 먹이를 먹어야되는 현실과 접근하기 어려운 지저분한 저질(산소없고 독성의 암모니아 NH3등)에 투여된 먹이를 섭이해야 되는 새우의 목숨건 삶의 현장 그리고 야행성으로 한참 뛰어놀아야 되나 새벽에는 식물프랑크톤과 배설물등에 의해 산소가 부족하여 호흡하기 힘들고 운동장은 전부 더러운 암모니아로 되어 있습니다.
'새우양식 > 양식장 수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우양식장 환경개선 및 관리 (0) | 2006.02.24 |
---|---|
9 - 10월중 대하양식 관리 (0) | 2005.09.08 |
새우가 행복하면 우리도 행복해집니다 (0) | 2005.07.07 |
적조발생의 기작 (0) | 2005.07.06 |
새우양식장소독-염소소독 (0) | 200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