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助氣)와 홍민어(紅民魚) 이야기 조기(助氣)와 홍민어(紅民魚) 이야기 국립수산과학원 이학박사 이해영(李海榮) 어느 국가나 그 나라사람이 즐겨 찾는 토속음식이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대한민국 국민은 역사와 함께 수산물을 즐겼던 기록이 많이 나온다. 한국국민의 대표수산물은 무엇일까? 명절 때면 꼭 찾는 우리국민과 함.. 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2007.04.13
해삼 해삼(海蔘) 바다의 인삼(人蔘), 해저의 신선(神仙) 극피동물문(棘皮動物門) 해삼강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 해삼은 어류는 아니고, 성게나 불가사리와 같은 극피동물이다. 서식은 조간대 수심 20m 사이의 내만 바닥이나 연안의 암초 및 자갈밭이다. 몸은 앞뒤로 길쭉한 편으로, 근육은 두꺼우며 속에 석회.. 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2006.09.13
미더덕 미더덕 봄철의 미각을 돋우는 미더덕 찜 자산어보에는 “음충(淫蟲); 모양은 양경(陽莖)을 닮아 입이 없고 구멍이 없다. 물에서 나와도 죽지 않는다. 볕에 말리면 위축되어 빈 주머니 같이 된다. 손으로 때리면 팽창한다. 즙(汁)을 내는데 털구멍에서 땀을 흘리듯 하며, 가늘기가 실이나 머리칼 같으며 .. 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2006.09.13
우렁쉥이 우렁쉥이 바다의 파인애플, 서비스 안주의 대명사 ‘멍게’라는 이름으로 더 널리 불려지는 우렁쉥이는 몸이 두꺼운 껍질에 덮여 바위 등에 붙어살기 때문에 조개류의 일종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척색동물(脊索動物)의 미색류(尾索類)에 속한다. 척색동물이란 척추동물과 원색동물의 특징을 모두 가.. 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2006.09.13
개불 개불 모습은 흉해도 맛은 일품 평소 바다 생물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 내륙 지방의 여성들이 해변에 늘어선 노점에서 구경하다 기겁을 하는 수산물이 있는데 그게 바로 개불이다. 생긴 모양이 마치 큰 지렁이 같기도 하고 동물의 창자 같기도 해 몹시 흉해 보이기 때문이다. 개불은 몸길이 10~30㎝ .. 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2006.09.13
청각 청각 물김치의 필수 양념, 향기와 씹히는 느낌이 일품 청각은 사슴 뿔 모양으로 자라는 해초로서 김치, 특히 물김치에는 필수불가결의 양념이다. 생김새 때문에 중국에서는 칭자오(靑角)나 루자이차이(鹿角菜), 루자이(鹿角)로 부르고, 일본에서는 바다 속에 사는 소나무라는 뜻으로 미루(海松, ミル).. 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2006.09.13
미역 [박태균의 식품 이야기] 미역 [박태균의 식품 이야기] 칼륨 풍부…짜게 먹는 사람에 좋아 미역은 요즘이 제철, 11월에서 이듬해 4월 사이에 대부분이 생산된다. 미역은 민간에선 산후선약(産後仙藥)으로 통한다. 산모가 첫 대면한 음식이 바로 미역국이었기에 생일, 출산하면 으레 미역을 떠올리는 것이다. 산모가 먹을 미역은 .. 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2006.09.13
미역 미역 생일상과 산후조리에 필수 식품 아무리 미역국을 싫어하는 사람이라도 나이만큼의 미역국은 먹기 마련이다. 생일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것이 미역국이기 때문이다. 또 아이를 낳은 산모에게 반드시 챙겨 먹이는 음식의 한가지도 미역국이다. 우리 민족과 이처럼 깊은 유대가 있는 미역은 갈조.. 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2006.09.13
다시마 다시마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에 좋은 바다의 채소 다시마는 암갈색을 띠며 뿌리와 줄기, 잎 3부분으로 된 대형 다년생 해조류다. 다시마속의 식물은 태평양 연안에 20여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주된 종류는 참다시마, 긴다시마, 오호츠크다시마, 애기다시마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바.. 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2006.09.13
김 [박태균의 식품 이야기] 김 [박태균의 식품 이야기] 칼슘․비타민 등 영양 풍부… 위 보호․당뇨 예방 효과도 해양수산부가 1월의 수산물로 정한 김은 요즘에 맛과 영양이 제일 좋다. 김의 엽상체(葉狀體; 이파리 모양)는 겨울철에 잘 자란다. 겨울 김은 생산된 뒤 바로 가공하므로 세포가 살아 있다. 그 때문인지 .. 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2006.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