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초 아가미의 부유물질(사료찌꺼기, 배설물 등) 섬모충류 등 기생충성 질병과 비브리오 등 세균성 질병이 악화된 사육환경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아가미병,바이러스 질병 발생으로 이어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최초 발생은 6월초로 전년도에 비해 빨라진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바이러스 질병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새우양식 어업인의 세심한 관찰과 양식장의 소독, 수질관리 등 철저한 양식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환경관리
수온, 염분, 용존산소, pH 등의 양식환경이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야하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관리하여야 합니다.
○ 외양수의 일시 다량 환수로 인한 수온, 염분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
록 주의해야 합니다.
○ 오염물질이나 적조생물의 다량유입에 유의해야 합니다.
○ 주변어장에 바이러스나 전염성 질병이 만연할 경우 방역대책 후 환수하여 주어
야 합니다.
□ 먹이공급
대하의 양식중에 아가미가 노랗거나 약한 갈색을 띄는 경우는 부니의 흡착과 섬모충의 기생에 의한 경우입니다. 이는 사료의 과잉공급에 의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보통 사료투여 후 물속에 그냥 흩어지는 먹이는 전체량의 약 40%를 차지합니다.
이러한 잔류사료는 대하의 성장을 방해하고 스트레스로 인하여 각종 질병에 노출시킵니다.
양식장에서 대하에게 좋다는 각종 만병 통치약을 넣어준다면 양식수 관리에 도움이 되겠지요.
그러나 완전한 해결책은 양식 총 비용중 사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30%이상을 차지하므로, 경제적인 손실과 질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양어지내에 투망을 쳐서 정기적으로 못안의 대하의 상태와 양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종합관리
일교차가 심한 현재 대하의 성장에 따라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야 합니다. 육안적으로 관찰시 군영성, 체표면에 이물질의 부착유무, 아가미의 색깔(투명한 색 : 정상) 꼬리, 촉각, 부속지 등의 발적 유무, 두흉갑의 흰반점 유무 등을 계속 관찰합니다.
○ 사육수 환수시에는 저수조를 클로크칼키(10∼30ppm)로 소독 후 2∼3일 후에 급 수하여 주십시오.
○ 인근 양식장과는 사람이나 기타 사용물건들의 교류를 가급적 자제하여 주십시오.
○ 한 양어장내에서도 호지별로 각기 다른 그물망, 용기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 폐사체의 발견시 즉시 수거하여 소각처리해 주십시오.
○ 양식장 출입구에 소독조를 설치하고 장갑, 신발, 의류, 차량 등은 반듯이 소독한후 사용하십시오.
○ 질병의 발생으로 인한 홍수출하로 가격하락이 야기될 수 있으니 출하시기의 조절이 이루어져야 하겠습니다.
기술정보 제공 : 목포지방해양수산청
바이러스의 최초 발생은 6월초로 전년도에 비해 빨라진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바이러스 질병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새우양식 어업인의 세심한 관찰과 양식장의 소독, 수질관리 등 철저한 양식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환경관리
수온, 염분, 용존산소, pH 등의 양식환경이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야하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관리하여야 합니다.
○ 외양수의 일시 다량 환수로 인한 수온, 염분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
록 주의해야 합니다.
○ 오염물질이나 적조생물의 다량유입에 유의해야 합니다.
○ 주변어장에 바이러스나 전염성 질병이 만연할 경우 방역대책 후 환수하여 주어
야 합니다.
□ 먹이공급
대하의 양식중에 아가미가 노랗거나 약한 갈색을 띄는 경우는 부니의 흡착과 섬모충의 기생에 의한 경우입니다. 이는 사료의 과잉공급에 의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보통 사료투여 후 물속에 그냥 흩어지는 먹이는 전체량의 약 40%를 차지합니다.
이러한 잔류사료는 대하의 성장을 방해하고 스트레스로 인하여 각종 질병에 노출시킵니다.
양식장에서 대하에게 좋다는 각종 만병 통치약을 넣어준다면 양식수 관리에 도움이 되겠지요.
그러나 완전한 해결책은 양식 총 비용중 사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30%이상을 차지하므로, 경제적인 손실과 질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양어지내에 투망을 쳐서 정기적으로 못안의 대하의 상태와 양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종합관리
일교차가 심한 현재 대하의 성장에 따라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야 합니다. 육안적으로 관찰시 군영성, 체표면에 이물질의 부착유무, 아가미의 색깔(투명한 색 : 정상) 꼬리, 촉각, 부속지 등의 발적 유무, 두흉갑의 흰반점 유무 등을 계속 관찰합니다.
○ 사육수 환수시에는 저수조를 클로크칼키(10∼30ppm)로 소독 후 2∼3일 후에 급 수하여 주십시오.
○ 인근 양식장과는 사람이나 기타 사용물건들의 교류를 가급적 자제하여 주십시오.
○ 한 양어장내에서도 호지별로 각기 다른 그물망, 용기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 폐사체의 발견시 즉시 수거하여 소각처리해 주십시오.
○ 양식장 출입구에 소독조를 설치하고 장갑, 신발, 의류, 차량 등은 반듯이 소독한후 사용하십시오.
○ 질병의 발생으로 인한 홍수출하로 가격하락이 야기될 수 있으니 출하시기의 조절이 이루어져야 하겠습니다.
기술정보 제공 : 목포지방해양수산청
'새우양식 > 양식장 수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ORP측정기 (0) | 2006.03.10 |
---|---|
새우양식장 환경개선 및 관리 (0) | 2006.02.24 |
수중에서 본 새우들의 생활환경 개선요구 (0) | 2005.07.07 |
새우가 행복하면 우리도 행복해집니다 (0) | 2005.07.07 |
적조발생의 기작 (0) | 200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