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해‘고수온’…새우.전복 양식장 비상 [무등일보 2005.08.02 10:04:37] 흰점 바이러스 발병 등 우려 전남 서남해안 새우와 전복 양식장에 고수온으로 인한 비상이 걸렸다. 목포지방해양수산청은 최근 바닷물 온도가 20℃를 넘으면서 새우와 전복 양식장의 피해가 우려돼 양식장 관리 등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는 등 출장 지도에 나서고 있다고 1일 밝혔다. 목포해양청 관계자는 “태안과 서산, 보령 등 충남지역 7개 양식장에서 흰점 바이러스가 발병해 770만마리의 새우가 폐사하는 등 수온 상승에 따른 피해가 신안 등서남해로 확산될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수온이 20℃ 이상 올라가면 빠르게 증식하는 이 바이러스는 한 번 걸리면 대부분 일주일 이내에 폐사로 이어지는 무서운 질병이다. 새우와 함께 전복 양식장도 22℃가 넘는 고수온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다. 목포해양청은 고수온으로 인한 전복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부착성 규조류의 발생이 부족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차광막을 이용, 양식장 실내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고 배양장 환풍을 최대한 유지해야 한다는 고수온 관리지침을 어민들에게 긴급히 내려 보냈다. 또 취수용 배관의 수온 상승 방지책을 강구하고 배합사료는 가능한 한 자제하며 냉각기 설치에 의한 수온조절은 1일 0.5℃를 상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절해 줄것을 당부했다. /목포=김종철기자 ================================================ 서해안 양식 대하 전멸 위기 【서산·태안】서산과 태안 등 서해안지역에서 양식중인 종묘대하가 흰점바이러스와 간췌장 바이러스의 감염률이 각각 55.7%에서 77.5%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대산지방해양수산청이 서해안지역 116개 양식대하어장에 대한 조사결과 피해액만도 2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11일 대산해수청에 따르면 입식초기 간췌장 바이러스에 의해 일부 양식어가가 양식을 포기하는 등 피해를 입은데 이어 최근 15개 양식장에서 2720여만마리가 흰반점 바이러스에 감염폐기됐다. 흰반점 바이러스는 지난달 중순께 태안지역 양식장에서 최초로 발견된 이후 점차 인근 양식어장으로 확산중이다. 이 바이러스는 저수온 상태에서는 잠복상태로 머물러 있다가 수온이 20도 이상 상승하면 빠른 속도로 증식, 발병을 유발하며 7일이내에 80∼90%가 폐사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이에 따라 대산해수청은 대하양식어가에 ‘대하양식장 관리속보’를 긴급히 내보는 한편 확산방지에 주력하고 있다. 서해안지역 양식대하의 흰점 바이러스 감염율은 2001년에는 5%대에 머물렀으나 1년뒤인 2002년에는 11.9%로 두배이상 급증했고 2003년도에는 21.3%로 해마다 10% 이상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간췌장 바이러스도 2001년에는 8%대였으나 2002년엔 두배가 넘는 19.5%, 2003년에는 31.9%로 흰반점 버이러스와 마찬가지로 해마다 10%이상의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해수청 관계자는 “바이러스 발병은 1∼2 주일 전부터 징후가 나타나므로 자세히 관찰하고 버이러스로 확인되면 조기수확을 하는 동시, 어장소독을 해 인근어장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아야 된다”고 당부했다. 관계자는 또 “이들 바이러스는 인근갯벌에서 서식하는 게, 잡새우 등이 중간숙주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이들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고 양식장에서 오염된 새우를 먹은 갈매기의 배설물과 깃털에 의해서도 바이러스가 옮겨지는 만큼 갈매기의 접근을 막는 조치도 함께 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대산해수청은 지난해의 경우 전국 양식대하의 폐사율이 80%를 넘어 전체 500여 어가 중 50%가 넘는 260여 농가가 중간에서 포가해야하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나 올해도 벌써 바이러스에 의한 피해가 나타나고 있어 양식어가가 각별한 주의를 하지 않을 경우 지난해와 같은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안서순·장인철〉 |
'새우양식 > 대하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우양식의 ‘간췌장 바이러스’ (0) | 2005.08.04 |
---|---|
서산 / 대하 바이러스 인체 무해 (0) | 2005.08.04 |
충남 새우양식 , 바이러스 출현 비상 (0) | 2005.07.23 |
축제식 새우양식장의 사육수 순환 (0) | 2005.07.07 |
중국산 흰다리 새우 종묘에 관하여 (0) | 200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