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전어] 전어양식 어디까지 왔나
값 비싸 양식 점차 확대 추세
기술 개발…크기·맛 자연산 못지 않아

병석에 누운 어머니를 위해 한
겨울에도 딸기를 구하러 산 속을 헤메던 효녀 이야기. 사시사철 출하되는 딸기 때문에 정말 옛이야기가 돼 버렸다. 딸기 뿐 아니다. 전어는 찬
바람 부는 가을이 돼야 먹는다는 정설도 옛이야기가 되지 싶다. 하우스에서 재배한 철 모르는 딸기처럼 전어도 양식하기 때문이다.
전어는 비늘이 쉬 떨어지고 금방 죽어버리는 탓에 양식이 안되는 대표적인 어종으로 알려져왔다. 미식가들이 전어를 선호하는 이유 중에는 어느 횟집에서도 속지 않고 자연산으로 먹을 수 있는 몇 안되는 어종이란 '확신'도 포함돼 있다. 문제는 가을전어의 유혹에 빠진 미식가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데 비해 공급은 되레 뒷걸음치고 있다는 점. 1997년 1만3천836t이던 어획량이 지난해 4천313t으로 크게 줄었다. 봄에 비해 심할 경우 10배 가까이 폭등하는 가격 널뛰기도 가을전어의 또 다른 특징이 됐다.
전어값이 금값이 되면서 전어양식에 뛰어드는 양식어민들이 하나 둘 생겨났다. 몇 년 전부터 충남 태안,전남 목포 순천,인천 강화 등지에서 전어양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 지난해 강화도에서만 2곳의 양식장에서 7t을 출하했지만 올해는 7곳에서 50t을 내놓고 있다. 아직은 자연산에 비해 크기가 작은 게 흠이다.
올해 들어 여수대 수산생명과학부 정관식 교수팀은 전어완전양식에 성공했다. 어미고기를 잡아 수정란을 추출하거나,치어를 잡은 뒤 가둬키우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언제든 인공적으로 어미고기에서 수정란을 추출해 양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
정 교수는 "4개월이면 상품성 있는 크기로 크는데,전용사료를 개발해 맛도 자연산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자신한다. 이달부터 일부는 부산지역에 공급되기도 했다. 정 교수는 "수요만 있다면 봄에도 가을처럼 지방질이 풍부한 전어를 공급할 수 있다"고 한다. 사시사철 고소한 가을전어를 먹을 날이 머지 않은 셈이다. 이상헌기자 ttong@busanilbo.com
출처 : 블로그 > 바다가 보이는 언덕 | 글쓴이 : 시루섬 [원문보기]
값 비싸 양식 점차 확대 추세
기술 개발…크기·맛 자연산 못지 않아

|
여수대 정관식 교수팀의 전어양식
현장.
|
전어는 비늘이 쉬 떨어지고 금방 죽어버리는 탓에 양식이 안되는 대표적인 어종으로 알려져왔다. 미식가들이 전어를 선호하는 이유 중에는 어느 횟집에서도 속지 않고 자연산으로 먹을 수 있는 몇 안되는 어종이란 '확신'도 포함돼 있다. 문제는 가을전어의 유혹에 빠진 미식가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데 비해 공급은 되레 뒷걸음치고 있다는 점. 1997년 1만3천836t이던 어획량이 지난해 4천313t으로 크게 줄었다. 봄에 비해 심할 경우 10배 가까이 폭등하는 가격 널뛰기도 가을전어의 또 다른 특징이 됐다.
전어값이 금값이 되면서 전어양식에 뛰어드는 양식어민들이 하나 둘 생겨났다. 몇 년 전부터 충남 태안,전남 목포 순천,인천 강화 등지에서 전어양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 지난해 강화도에서만 2곳의 양식장에서 7t을 출하했지만 올해는 7곳에서 50t을 내놓고 있다. 아직은 자연산에 비해 크기가 작은 게 흠이다.
올해 들어 여수대 수산생명과학부 정관식 교수팀은 전어완전양식에 성공했다. 어미고기를 잡아 수정란을 추출하거나,치어를 잡은 뒤 가둬키우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언제든 인공적으로 어미고기에서 수정란을 추출해 양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
정 교수는 "4개월이면 상품성 있는 크기로 크는데,전용사료를 개발해 맛도 자연산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자신한다. 이달부터 일부는 부산지역에 공급되기도 했다. 정 교수는 "수요만 있다면 봄에도 가을처럼 지방질이 풍부한 전어를 공급할 수 있다"고 한다. 사시사철 고소한 가을전어를 먹을 날이 머지 않은 셈이다. 이상헌기자 ttong@busanilbo.com
![]() |

'새로운 꿈 > 새로운 꿈을 찾아 (신품종 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게 유생사육시 수온, 염분별 성장 및 생존율 (0) | 2006.05.02 |
---|---|
국립수산과학원, “왕우럭”자원회복 시킨다 (0) | 2006.05.01 |
[스크랩] 전어양식 사업계획서 (0) | 2006.03.10 |
꽃게양식 산업화 워크숍 개최 (0) | 2006.02.24 |
해삼가두리양식 개발 (0) | 2006.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