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마외 함께 2006. 7. 20. 18:36
조석 정보
  조석현상은 지구, 달 그리고 태양의 인력 효과와 지구의 구심력의 평형에 의해 발생하는 해수면의
주기적 승강운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석의 형태는 해안의크기, 형태, 수심 등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기조력 발생 현상
 
 
고·저조 발생 현상
 
 
조석 용어
 
분 류 내 용
고조와 저조 조석으로 인하여 해수면이 가장 높아진 상태를 고조라 하고 가장 낮아진 상태를 저조라 함
1일 1회조 약 1일에 1회의 고조와 1회의 저조만 있는 조석
1일 2회조 약 1일에 2회의 고, 저조가 있으며 일조부등이 적고 비교적 규칙적인 조석
고조간격 달이 그지점의 자오선상을 경과하여 고조가 될 때 까지의 시간
근지점조 달이 지구에 가까이 온 후 일어나는 조차가 큰 조석
기본수준면 해도의 수심기준면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평균해면에서 주요 4개 분조의 반조차
(Hm+Hs+H'+H˚)의 합만큼 내려간 면.
낙 조 조석에 의하여 해면이 하강하여 가는 동안
창 조 조석에 의하여 해면이 상승하여 가는 동안
대 조 삭 또는 망 후 조차가 큰 조석
대조승 기본수준면으로부터 대조의 평균고조면까지의 높이
대조차 대조의 평균조차 (대조때 조차의 평균치)
소 조 상현, 하현경의 조차가 극히 적은 조석
소조승 기본수준면으로부터 소조의 평균고조면까지의 높이
소조차 소조의 평균조차(소조때의 조차의 평균치)
월조간격 달이 그 지점의 자오선상을 경과하여 고조 또는 저조가 될 때까지의 시간
일조부등 1일 1회의 고조 또는 저조를 비교하면 그 높이나 간격이 약간 다른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1일 2회의 조석이 같지 않는 것을 말함
정 조 고조 또는 저조에 따른 해면의 승강이 멎을때
조 차 서로 연다른 고조와 저조의 높이의 차
지 각 어떤 분조가 일으키는 가상천체가 그 지역의 자오선상을 경과하여 그 분조가 고조가 될 때 까지의 시간을 각도로 표시한 것
혼합조 약 1일에 2회의 고저조가 있으나 일조부등이 크고 때로는 1일 1회조로 되는 조석
회귀조 달의 적위가 최대인때의 일조부등이 큰 조석
 
백중 사리
  백중사리란 사리와 달의 근지점이 일치할 때를 의미한다. 사리와 근지점의 주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년 중 음력 7월 15일을 사이에 두고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백중사리때에는
평소의 사리보다 높은 조위를 보이게 된다. 여기서 사리란 달과 태양과 지구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있을 때를 의미한다. 즉 보름달 혹은 그믐 전후 3~4일정도를 의미한다.근지점은 달과 지구가 가장
가까은 거리에 있을 때를 의미한다.
 
사리때 달, 태양, 지구의 모습
 
삭(朔, 그믐)일 경우 망(望, 보름)일 경우
 
조금때 달, 태양, 지구의 모습
 
상현(上弦, 반달)일 경우 하현(下弦, 반달)일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