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우양식/대하양식

대하와 보리새우 양식 (수산과학원)

제주해마외 함께 2006. 5. 9. 11:15
. 종류
      보리새우(Penaeus japonicus)
    대하(Penaeus chinensis)
 
나. 생태
  1. 성숙과 산란
   
      난소성숙 상태
      - 미숙:무색(방란후도 포함)
      - 중숙:담황록색
      - 성숙:청록색
    수컷 성숙상태
      - 수정관 끝의 사정관이 팽출되어 유백색을 띠고 생식 개구부가 돌출
    암수교미를 하며, 암컷은 생식 보조기(Trelycum)가 있으며, 보리새우는 교미전이 있음.
    산란기
      - 대하:3월하순~7월중순(산란성기:4~6월)
      - 보리새우:5월중순~9월하순(산란성기:7~8월)
 
A : 미분할기
B : 4세포기
C : 64세포기, 중앙내배엽의 함입
D : 동전후기(횡단)
E : 중·내배엽 세포의 함입
F : 함입후기(횡단)
ce : 중앙 내배엽 세포
e : 내배엽 세포
m : 중배엽 세포
 
<<보리새우위 초기발생>>
   
  <<보리새우 유생 발생>>
 
발생과정
유생발생 경과시간(수온 27~29℃)
체장(cm)
비고
산란
0일 0시간
 
제1 nauplius
14시간
0.32
 
제2 nauplius
17시간
0.34
 
제3 nauplius
20시간
0.37
 
제4 nauplius
1일 01시간
0.39

 
제5 nauplius
1일 06시간
0.44
 
제6 nauplius
1일 13시간
0.50
 
제 1 zoea
2일 03시간
0.92
 
제 2 zoea
3일 07시간
1.53
 
제 3 zoea
4일 15시간
2.24
 
제 1 mysis
6일 02시간
2.83
 
제 2 mysis
7일 01시간
3.34
 
제 3 mysis
8일 02시간
4.34
 
제 1 post larvae
9일 03시간
4.90
 
제 2 post larvae
10일 06시간
 
치하
36일
25~30
 
 

<<보리ㅣ새우의 유생>>
  A : nauplius 복면도 B : 동 측면도 C : zero 복면도 D : 동 두흉값 측면도 E : mysis 측면도 F : post larva 측면도

1. 제1촉각 2. 제2촉각 3. 대악 4. 상순 5.미극 6. 단안 7. 대악기부 팽출 8. 하순 9. 배돌기 10. 두흉갑 원기
11. 액각 12. 안상극 13. 상순극 14. 제1,2소악 15. 제1∼2악각 16. 두흉갑 원기 17. 미절 18. 배부기관 19. 액각극
20. 간극 21. 제2촉각 인편 22.흉부 부속지 내분지 23. 외분지 24. 복절 배중극 25. 복절측극 26. 미지 27. 촉각 상극
28. 전축각극 29. 경구 30. 복지 31. 측갑

  2. 성장과 서식장
   
      수명: 대하 1년 , 보리새우: 1~2년
    서식장
      - 치하기에는 수심이 얕은 연안 천해에서 서식하고 가을에 수온이 하강하면 월동장으로 이동, 다음해 봄에
          수온 상승시
         연안으로 이동, 산란
      - 주서식장은 남해안 서부와 서해안 내만이나 연안 가까운 천해
      - 내만이나 연안의 간석지가 발달해 있는 곳으로 외해로 통하기 쉬운 곳

    습성
      플랑크톤 시기 : 수직분포
      잠복성
      추류성 및 추광성
      군집성
 
다. 양식
  1. 종묘생산
   
      채란
      어미크기:대하 50~100g, 보리새우 50~120g
      산란량
      ­대하:수만~수십만개
      ­보리새우:30만개 정도

산란 수 또는 성숙란 수

종 류
성숙난소의 체중에 대한 %
산란 또는 성숙란 수 (개)
친하의 췌장 (mm)
대하
14
900,000
230
보리새우
10
700,000
200

    유생사육 먹이
      zoea기:Skeletonema costatum
      mysis기, 전기 post larvae:Artemia
      후기 post larvae:반지락 육질
    사육시설
      주 시 설:소형탱크(1×2×1m)
      대형탱크(10×10×2m)
      보조시설:먹이생물 배양탱크(1×2×1m)
      급·배수시설, 통기설비, 가온 및 보온설비, 여과탱크
    종묘수송
      수송시 수용밀도:20ℓ통에 해수 6~8ℓ를 채우고 5,000~10,000미 정도 수용
      수송온도:5~10℃

 
  2. 양성
   
      양성방법:제방식, 그물가두리식, 순환여과식, 유수식, 탱크식
      비중 1.025 전후의 외해성 어장이면서 풍파에 의한 피해가 적은 곳
      수심 10~30m, 수온은 동계에 5℃ 이상, 하계에 24℃ 이하인 곳
      조류소통이 양호하고 담수의 영향이 없는 곳
      자연산 우렁쉥이가 많이 서식하고 성육이 잘되는 곳
      어장관리가 편리한 곳
   양성관리(양성기간:6개월)
      양성장의 관리
      ­양성장 바닥의 먹이 찌꺼기, 새우의 배설물 및 각종 생물의 퇴적물 제거후 바닥갈이 실시
      ­새우 식해어류 구제실시
    종묘의 방양
      ­방양시기:6월중(평균체장 약 0.02g)
      ­방양시 수온차가 크기 않아야 하며, 유생방양장을 따로 마련하는 것이 좋으나 없을 경우에는 양성장의 일부를
          화섬망으로 구획하여 방양하고 몇주일 경과후 화섬망 제거(평균체장 1~2g)
    사육
      ­먹이:생진주담치, 냉동 잡새우 등 (냉동먹이 75% 이하, 생먹이 25% 이상 혼합)
      ­먹이주는 방법:체중 0.5g까지는 해수에 희석하여 분산
      ­먹이주는 회수:체중 1g까지 하루 2~3회 체중 1g 이상 성장후 하루 1회(해질무렵)
    환경관리
      ­갈파래, 파래 등 녹조류 번식으로 저질악화시 살포제 사용(Deirad 2ppm)
      ­어류구제:Derris 뿌리약제 살포(0.5ppm)
      ­저질환원 방지:해수유동시설 또는 분사장치로써 교반
      ­Derris 뿌리 분말이 망둥어와 보리새우에 끼치는 영향
Derris 뿌리농도
(ppm)
망 둥 어
보 리 새 우
췌 장 (cm)
사망까지의 시간 (분)
췌 장 (cm)
사망까지의 시간 (분)
10
2
18
2
생 존
3
18
3
8x60
5
2
75
2
생 존
4
75
2
생 존
1
2
120
2
생 존
4
120
4
생 존
0.5
2
200
2
생 존
3
생 존
4
생 존
   
  3. 수확
      수확시기는 가을이 좋으며, 대하는 클수록 좋고, 보리새우는 20g 내외가 적당
    수확방법
      ­면적이 좋은 못에서는 해수를 배수한 다음 손으로 채포
      ­면적이 넓은 못에서는 펌프망을 이용하고 새우가 유영하는 밤에는 정치망을 이용 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