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살이/자연속의 약제 (양식장 근처 자생생
[스크랩] 한의사 4인방 추천 봄철 최고 보약 음식
제주해마외 함께
2006. 5. 3. 00:01
![]() ![]() 강남경희한방병원 이경섭 병원장은 “봄에 떨어진 입맛을 살리고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냉이는 단백질과 철분, 칼슘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봄나물입니다. 냉이의 진한 향내만으로도 입맛을 돋우기에 충분하며 소화와 간의 해독작용도 돕습니다.”라고 설명한다.
<동의보감> 에서는 냉이에 대해 “맛이 달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약재로 뱃속을 고르게 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데 죽을 쑤어서 먹으면 피를 끌어다 간에 들어가게 해서 눈을 맑게 해 준다.”고 기록하고 있다.
냉이는 날것으로는 먹지 못해 반드시 데쳐 먹는데 지나치게 익히지 않아야 향긋한 봄 냄새를 식탁에 올릴 수 있다. 끓는 물에 뿌리와 줄기를 무르게 삶은 다음 찬물에 담가 쓴맛을 빼서 먹는 것이 좋다. 데칠 때 소금을 넣으면 변색과 비타민 C의 파괴도 줄이고 모양도 유지할 수 있다.
![]() 봄에는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면서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많이 필요한데 이를 손쉽게 보충할 수 있는 것이 봄나물이다. 봄나물을 열을 가하지 않고 초무침 등의 방법으로 조리를 하면 열에 의해서 파괴되기 쉬운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손실 없이 흡수할 수 있다.
비타민 A, B1, C가 골고루 들어 있는 달래에는 특히 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므로 빈혈을 없애주고 간장 기능을 개선하며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행복한 한의원 신용준 원장은 “특히 달래는 파처럼 매운 맛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매운 맛은 봄에 입맛이 떨어진 경우에 좋습니다. 매운 맛은 한의학에서는 폐에 해당하며 나른해진 정신을 맑게 해주는 능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봄에 늘어진 몸과 마음을 흔들어서 바짝 정신차리게 해주는데 매운 맛의 달래가 좋습니다.”라고 설명한다.
이런 달래를 초무침으로 이용하면 식초가 들어가므로 식초의 효능도 더불어 기대할 수 있다. 식초는 당의 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작용을 하여 혈당치를트낮추고 스트레스를 해소해 주는 효과가 있다.
![]() 두릅은 흔히 왕관처럼 생긴 것이 맛과 향이 빼어나기 때문에 산나물의 왕이라고 불리는데 나른한 봄철에 없는 입맛을 돋우는 데 그만이다. 특히 산 속에서 자란 어린 두릅순의 신선한 향기는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그래서 아침에 잘 일어나지 못하고 활력이 없는 사람이 먹으면 좋다.
맑음샘 한의원 김영수 원장은 “두릅에는 신경을 안정시키는 칼슘이 많이 들어 있어 마음을 편하게 해주고 불안, 초조감을 없애줍니다. 그러므로 정신적 긴장이 지속되는 일을 하는 사무직 종사자와 학생이 먹으면 머리가 맑아지고 숙면에도 도움이 됩니다.”라고 조언한다.
또한 두릅은 열량이 적어서 당뇨병 환자가 먹으면 혈당치를 떨어뜨리고 허기를 막아준다. 더불어 신장이 약한 사람, 만성신장병으로 몸이 붓고 소변을 자주 보는 사람이 먹으면 신장기능도 강화된다.
![]() 봄 철 입맛이 없다고 식사를 거르거나 인스턴트 식품으로 대신할 경우, 비타민 C나 대뇌중추를 자극하는 티아민 등이 결핍돼 영양상의 불균형으로 춘곤증이 더욱 악화된다.
서정한의원 박기원 원장은 “이러한 때 피로회복과 면역력 증강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 C가 풍부한 돌미나리를 섭취해주면 춘곤증 예방에 아주 효과적입니다. 돌미나리는 또한 알칼리성식품으로서 칼슘, 철 등의 무기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입맛도 돋워주고 원기를 회복하는데 효과적입니다.”라고 설명한다.
특히 봄은 취직, 입학 등 신상변화가 많아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변비를 호소하는 경우도 많은데 미나리의 식물성 섬유가 내장 벽을 자극해 운동을 촉진하므로 장의 활동이 활발해져 변비가 해결된다.
또한 찬 성질을 가진 미나리는 술을 마신 뒤 열독을 풀어주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해주며, 간 기능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소화기관이 약하고 몸이 찬 사람은 많이 먹으면 설사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 글 | 지영아 기자 / 도움말| 강남경희한방병원 이경섭 병원장, 맑음샘 한의원 김영수 원장, 서정한의원 박기원 원장, 행복한 한의원 신용준 원장 >
|
출처 : 추억의 흘러간 옛노래 태그천사
글쓴이 : 전통가요 짱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