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마외 함께 2005. 8. 25. 21:32
분 포
우리나라 남해에서 주로 분포하며 일부 서해 연안에서도 출현하며, 전 세계에서는 일본, 대만, 필리핀, 베트남, 남아프리카, 케냐 등지의 해역에서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거제 연안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며, 여수, 보령, 군산 등지에서 채집된 바 있다.
   
  형 태
이마뿔은 약간 위로 휘고 뾰족하며, 윗가장자리에는 8∼10개의 이가 있고 아랫가장자리에는 1개의 이가 있다.
암컷 교접기의 저정낭은 뒷가슴마디의 가슴판을 거의 다 차지하며 납작한 원통형이고 앞쪽에 구멍이 열린다. 네번째 가슴다리 사이에는 석회질화가 잘 된 돌기가 있는데 그 끝은 앞으로 향하고 둥근 형태이다. 수컷 교미기는 콩깍지 모양이고 옆으로 납작하며 깊은 홈을 가진다.
몸 색깔은 연한 청색, 적갈색을 띄고, 몸에는 머리가슴에서부터 꼬리마디에 걸쳐 가로로 10줄 내외의 진한 줄무늬가 있다.

산 란
우리나라 거제연안의 보리새우 산란기는 6∼9월경이며, 주산란기는 7∼8월이다. 산란장은 산란기때 거제 연안에 어미가 많이 어획되는 것으로 보아 동 해역이 주 산란장으로 추정된다.
크 기
Mysis 3기의 크기는 전장 약 1∼1.5mm 정도이다. 최대크기는 전장 190㎜(수컷), 225㎜(암컷) 정도이다.
먹 이
곤쟁이류, 십각류 유생, 기타 무척추동물 등
기 타
보리새우는 어미 개체군들이 7∼9월경 연안에서 산란하고, 산란된 새로운 개체군이 빠른 성장을 하여 10월말에 어구에 가입하기 시작한다. 이 개체군들이 성장하다 수온이 하강하는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외측으로 이동한 후 수온이 상승하는 4월경부터 연안으로 이동하여 서식한다.
이들의 서식 수심은 0∼90m 정도이고 저질이 모래가 섞여있는 뻘지역이나 모래지역에서 주로 서식한다.
참 고
이전에는 Penaeus japonicus (Bate, 1888)로 알려져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