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이야기/수산물과 생활이야기
[수산물과 생활 이야기] 대게
제주해마외 함께
2005. 8. 25. 21:13
우리나라 동해안의 '보물' 대게는 단백한 맛이 일품으로 누구나 좋아하는 갑각류이다. 대게
는 겨울과 이른 봄이 제철로 미식가들이 즐겨 찾는다.
대게는 붉은대게(일명 홍게)와 함께 동해안에서 어획되는 주요 갑각류이지만 최근에는 붉은
대게와 대게의 잡종으로 추정되는 가칭 '너도대게'도 잡히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게는 바
다 밑 지질이 깨끗한 모래로만 이루어진 경북 영덕군의 강구면과 축산면 앞바다에서 3~4월
에 잡힌 것이 맛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남녀노소가 모두 좋아하는 '대게'란 이름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몸집이 크다(大)고 해서
불려진 것이 아니라 형태와 관련해서 붙여진 것이다. 대게의 몸통에서 엇나간 다리모양이
대나무(竹)처럼 마디가 있는데다 길쭉하고 곧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영문으로는 'Snow crab'으로 불리는데 대게가 주로 눈이 많은 곳에 서식하며 제철이 겨울
인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대게의 '대표'로 꼽히는 '영덕대게'는 고려 태조가 지금의 영해 지역으로 순
시를 할 때 주안상에 대게를 요리한 특별 음식을 올린 것을 계기로 이같은 명칭이 생겨났다
고 전해진다.
대게의 서식 해역은 오츠크해,베링해,알래스카해 등 북쪽 해역을 포함해 우리나라 경북 위
쪽의 동해안에 많이 분포하며 최근에는 울산 연안까지도 어획되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적
으로 자원량은 많지 않은 편이다.
보통 수심 200~800m의 모래바닥 또는 진흙에서 서식하는 대게는 탈피 때마다 성장을 하는
데 큰 것은 갑폭이 약 16cm 정도에 이르며 수명은 약 18~20년 정도로 제법 긴 편이다. 크기
는 대부분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대게는 영양학적으로 타 수산물에 비해 칼슘이나 인,철분,라이신 등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
이 많다. 특히 게 껍질에는 독성이 없고 인체면역성을 강화시켜주는 키토산과 타우린산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게는 매혹적인 맛과 함께 영양 면에서도 우수한 먹거리이다.
는 겨울과 이른 봄이 제철로 미식가들이 즐겨 찾는다.
대게는 붉은대게(일명 홍게)와 함께 동해안에서 어획되는 주요 갑각류이지만 최근에는 붉은
대게와 대게의 잡종으로 추정되는 가칭 '너도대게'도 잡히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게는 바
다 밑 지질이 깨끗한 모래로만 이루어진 경북 영덕군의 강구면과 축산면 앞바다에서 3~4월
에 잡힌 것이 맛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남녀노소가 모두 좋아하는 '대게'란 이름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몸집이 크다(大)고 해서
불려진 것이 아니라 형태와 관련해서 붙여진 것이다. 대게의 몸통에서 엇나간 다리모양이
대나무(竹)처럼 마디가 있는데다 길쭉하고 곧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영문으로는 'Snow crab'으로 불리는데 대게가 주로 눈이 많은 곳에 서식하며 제철이 겨울
인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대게의 '대표'로 꼽히는 '영덕대게'는 고려 태조가 지금의 영해 지역으로 순
시를 할 때 주안상에 대게를 요리한 특별 음식을 올린 것을 계기로 이같은 명칭이 생겨났다
고 전해진다.
대게의 서식 해역은 오츠크해,베링해,알래스카해 등 북쪽 해역을 포함해 우리나라 경북 위
쪽의 동해안에 많이 분포하며 최근에는 울산 연안까지도 어획되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적
으로 자원량은 많지 않은 편이다.
보통 수심 200~800m의 모래바닥 또는 진흙에서 서식하는 대게는 탈피 때마다 성장을 하는
데 큰 것은 갑폭이 약 16cm 정도에 이르며 수명은 약 18~20년 정도로 제법 긴 편이다. 크기
는 대부분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대게는 영양학적으로 타 수산물에 비해 칼슘이나 인,철분,라이신 등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
이 많다. 특히 게 껍질에는 독성이 없고 인체면역성을 강화시켜주는 키토산과 타우린산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게는 매혹적인 맛과 함께 영양 면에서도 우수한 먹거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