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이야기/수산 일반 상식
우리나라 민물고기 분류학적 위치
제주해마외 함께
2007. 4. 12. 23:36
지구상에는 약 2만5천 종(조사.보고된 종,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을 것임)의 어류가 서식한다는데, 그 중 민물고기는 약 1만 종 정도이며, 한국의 민물고기는 2005년 현재 도입종 12종을 포함해 212종으로 밝혀져 있다.
★★<<한국의 민물고기>> (212종)
17목 39과 5아과 106속(도입종은 속 분류 제외)
◎칠성장어과:
칠성장어,다묵장어,칠성말배꼽
◎철갑상어과:
철갑상어,칼상어,용상어
◎뱀장어과:
뱀장어,무태장어
◎멸치과:
웅어,싱어
◎청어과:
밴댕이,전어
◎잉어과:
잉어,이스라엘잉어,붕어,떡붕어,초어,흰줄납줄개,납줄개,각시붕어,떡납줄갱이,한강납줄개,서호납줄갱이,납자루,묵납자루,칼납자루,임실납자루,줄납자루,큰줄납자루,납지리,큰납지리,가시납지리,참붕어,돌고기,감돌고기,가는돌고기,쉬리,새미,참중고기,중고기,북방중고기,줄몰개,긴몰개,몰개,참몰개,점몰개,모샘치,케톱치,누치,참마자,어름치,모래무지,버들매치,왜매치,꾸구리,돌상어,흰수마자,압록자그사니,두만강자그사니,모래주사,돌마자,여울마자,?경모치,배가사리,두우쟁이,야레,백련어,대두어,황어,대황어,연준모치,버들치,버들개,동버들개,금강모치,버들가지,왜몰개,갈겨니,피라미,끄리,눈불개,강준치,백조어,치리,살치
◎종개과:
종개,쌀미꾸리
◎미꾸리과:
미꾸라지,참종개,부안종개,미호종개,왕종개,남방종개,동방종개,새코미꾸리,얼룩새코미꾸리,기름종개,점줄종개,줄종개,북방종개,수수미꾸리,좀수수치
◎메기과:
메기,미유기
◎동자개과:
동자개,눈동자개,꼬치동자개,대농쟁이,밀자개,종어
◎찬넬동자개과:
찬넬동자개
◎퉁가리과:
자가사리,퉁가리,퉁사리
◎바다빙어과:
빙어,은어
◎뱅어과:
뱅어,국수뱅어,벚꽃뱅어,도화뱅어,젓뱅어,실뱅어,붕퉁뱅어
◎연어과:
사루기,열목어,연어,곱사연어,산천어,은연어,무지개송어,자치,홍송어,곤들메기
◎대구과:
모오캐
◎숭어과:
숭어,등줄숭어,가숭어
◎송사리과:
송사리,대륙송사리
◎학공치과:
줄공치,학공치
◎큰가시고기과:
큰가시고기,가시고기,두만가시고기,청가시고기,잔가시고기
◎실고기과:
실고기
◎드렁허리과:
드렁허리
◎양볼락과:
조피볼락
◎양태과:
양태
◎둑중개과:
둑중개,한둑중개,참둑중개,개구리꺽정이,꺽정이
◎농어과:
농어
◎꺽지과:
쏘가리,꺽저기,꺽지
◎검정우럭과:
블루길,배스,작은입우럭
◎시크리드과:
나일틸라피아
◎주둥치과:
주둥치
◎돛양태과:
강주걱양태
◎구굴무치과:
구굴무치
동◎사리과:
동사리,얼룩동사리,남방동사리,좀구굴치
◎망둑어과:
날망둑,꾹저구,왜꾹저구,문절망둑,왜풀망둑,흰발망둑,비늘흰발망둑,풀망둑,열동갈문절,애기망둑,무늬망둑,갈문망둑,밀어,민줄두줄망둑,황줄망둑,검정망둑,민물검정망둑,줄망둑,점줄망둑,날개망둑,모치망둑,제주모치망둑,꼬마청황,짱뚱어,말뚝망둥어,큰볏말뚝망둥어,미끈망둑,사백어,빨갱이,개소겡
◎버들붕어과:
버들붕어
◎가물치과:
가물치
◎가자미과:
돌가자미,강도다리,도다리
◎참서대과:
박대
◎참복과:
까치복어,매리복,복섬,흰점복,황복,자주복
★★<<천연기념물>> (6종)
1) 열목어: 강원 정선 정암사 서식지 (제73호) 경북 봉화 서식지(제75호)
◈열목어는 냉수성 어류로 시베리아 아무르 수계에서는 흔하지만 우리 나라가
서식하는 남방한계선이기 때문에 학술적으로 중요시해 천연기념물로 정함.
2) 무태장어: 제주도 천지연 서식지(제27호)
◈무태장어는 열대성 어류로 동남아시아 필리핀 등에서는 흔하지만 우리 나라가
서식 북방한계선이어서 천연기념물로 정해 보호함.
3) 어름치: 어름치(제259호) 금강 어름치 서식지(제238호)
4) 황쏘가리: 한강의 황쏘가리(제190호)
5) 미호종개: (제454호)
6) 꼬치동자개: (455호)
★★<<보호종>>
[멸종위기 1급] (4종)
1)흰수마자 2)퉁사리 3)얼룩새코미꾸리 4)감돌고기
[멸종위기 2급] (12종)
1)다묵장어 2)칠성장어 3)묵납자루 4)임실납자루 5)꾸구리 6)돌상어
7)모래주사 8)가는돌고기 9)가시고기 10)잔가시고기 11)둑중개 12)한둑중개
★★<<보호종에서 해제된 어류>> (4종)
1)좀수수치 2)부안종개 3)꺽저기 4)두우쟁이
★★<<멸종된 종>> (1종)
1) 서호납줄갱이
★★<<절멸된 종>> (1종)
1) 종어
★★<<우리 나라 고유종(특산종)>> (61종)
*각시붕어 *한강납줄개 *묵납자루 *칼납자루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임실납자루 *가시납지리 *가는돌고기 *감돌고기 *중고기 *참중고기 *몰개 *긴몰개 *참몰개 *점몰개 *돌마자 *여울마자 *왜매치 *?경모치 *배가사리 *모래주사 *어름치 *쉬리 *꾸구리 *돌상어 *흰수마자 *압록자그사니 *두만자그사니 *금강모치 *버들가지 *치리 *참종개 *줄종개 *점줄종개 *부안종개 *미호종개 *기름종개 *왕종개 *동방종개 *남방종개 *북방종개 *새코미꾸리 *얼룩새코미꾸리 *수수미꾸리 *좀수수치 *눈동자개 *꼬치동자개 *미유기 *자가사리 *퉁가리 *퉁사리 *꺽지 *동사리 *얼룩동사리 *자치 *사루기 *젓뱅어 *점줄망둑 *큰볏말뚝망둥어
★★<<북한에 서식하는 고유종>> (5종)
1) 칠성말배꼽 2) 압록자그사니 3) 두만자그사니 4)자치 5) 사루기
★★<<남한에는 없고 북한에 서식하는 어류>> (18종)
1)칠성장어과: 칠성말배곱, 압록강.
2)철갑상어과: 용상어, 북한의 동해안.
[모래무지아과]
3)모샘치, 북한 여러 하천.
4)북방중고기, 압록강.
5)압록자그사니, 압록강.
6)두만자그사니, 두만강.
[납자루아과]
7)납줄개,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황어아과]
8)야레, 압록강.두만강.
9)동버들개,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연어과]
10)사루기, 압록강 상류(한국 고유종)>
11)자치, 압록강 상류(한국 고유종).
12)곱사연어,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13)곤들매기, 압록강.두만강 상류.
14)홍송어,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큰가시고기과]
15)두만가시고기,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16)청가시고기,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대구과]
17)모오캐, 압록강 상류.
[둑중개과]
18)참둑중개, 두만강.
★★<<우리 나라 학자들에 의해 신종으로 등록된 어류>> (19종)
1)참 종 개(Iksookimia koreenisis)
김익수 (1975)
2)왕 종 개(Iksookimia longicorpa)
김익수,최기철(1976)
3)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
전상린,최기철(1980)
4)점 몰 개(Squalidus multimaculatus)
전상린,hosoya(1984)
5)미 호 종 개(Iksookimia choii)
김익수,손영목(1984)
6)동 사 리(Odontobutis platycephala)
전상린,iwata(1985)
7)얼룩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전상린,iwata(1985)
8)부 안 종 개(Iksookimia pumila)
김익수,이완옥(1987)
9)퉁 사 리(Liobagrus obesus)
손영목,김익수,주일영(1987)
10)칼 납 자 루(Acheilognathus koreensis)
김익수,김치홍(1990)
11)임실납루(Acheilognathus somjinensis)
김익수,김치홍(1991)
12)점 줄 망 둑(Acentrogobius pellidebilis)
이용주,김익수(1992)
13)좀 수 수 치(Niwaella brevifasciata)
김익수,이완옥(1995)
14)큰볏말뚝망둥어(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이용주,최윤,유봉석(1995)
15)동 방 종 개(Iksookimia yongdokensis)
김익수,박종영(1997)
16)큰줄납자루(Acheilognathus majusculus)
김익수,양현(1999)
17)얼룩새코미꾸리(Koreocobitis naktongensis)
김익수,박종영(2000)
18)여 울 마 자(Microphysogobio rapidus)
채병수,양홍준(2000)
19)한강납줄개(Rhodeus pseudosericeus)
전상린(2001)
★★<<외국에서 도입된 종>> (12종)
1) 이스라엘잉어(이스라엘) 2)떡붕어(일본) 3)흑연(중국남부) 4)백연(아시아 동부) 5)초어(중국)
6)무지개송어(북미) 7)은연어(북미) 8)브루길(북미) 9)배스(북미) 10)작은입우럭(북미) 11)찬넬동자개
(북미) 12)나일틸라피아(아프리카)
★★<<서식 여부가 미상인 종>>
(기록에는 있지만 근래 출현 보고가 없어 서식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종)
철갑상어과 3종, 케톱치, 구굴무치
(한강에 분포한다는 모샘치도 남한에는 서식하지 않음)
★★<<담수어 구분>>
*1차담수어: 담수에만 살면서 해수의 염분농도를 견딜 수 없는 어류
*2차담수어: 담수에 주로 살지만 해수의 염분농도를 일시적 견딜 수 있는 어류
*회유성 어류: 삼투 조정 능력이 있어 해수와 육수를 왕래하는 어류
잉어목.메기목 등 1차담수어는 전체 담수어의 약 1/2 정도를 차지한다.
★★<<한국의 민물고기>> (212종)
17목 39과 5아과 106속(도입종은 속 분류 제외)
◎칠성장어과:
칠성장어,다묵장어,칠성말배꼽
◎철갑상어과:
철갑상어,칼상어,용상어
◎뱀장어과:
뱀장어,무태장어
◎멸치과:
웅어,싱어
◎청어과:
밴댕이,전어
◎잉어과:
잉어,이스라엘잉어,붕어,떡붕어,초어,흰줄납줄개,납줄개,각시붕어,떡납줄갱이,한강납줄개,서호납줄갱이,납자루,묵납자루,칼납자루,임실납자루,줄납자루,큰줄납자루,납지리,큰납지리,가시납지리,참붕어,돌고기,감돌고기,가는돌고기,쉬리,새미,참중고기,중고기,북방중고기,줄몰개,긴몰개,몰개,참몰개,점몰개,모샘치,케톱치,누치,참마자,어름치,모래무지,버들매치,왜매치,꾸구리,돌상어,흰수마자,압록자그사니,두만강자그사니,모래주사,돌마자,여울마자,?경모치,배가사리,두우쟁이,야레,백련어,대두어,황어,대황어,연준모치,버들치,버들개,동버들개,금강모치,버들가지,왜몰개,갈겨니,피라미,끄리,눈불개,강준치,백조어,치리,살치
◎종개과:
종개,쌀미꾸리
◎미꾸리과:
미꾸라지,참종개,부안종개,미호종개,왕종개,남방종개,동방종개,새코미꾸리,얼룩새코미꾸리,기름종개,점줄종개,줄종개,북방종개,수수미꾸리,좀수수치
◎메기과:
메기,미유기
◎동자개과:
동자개,눈동자개,꼬치동자개,대농쟁이,밀자개,종어
◎찬넬동자개과:
찬넬동자개
◎퉁가리과:
자가사리,퉁가리,퉁사리
◎바다빙어과:
빙어,은어
◎뱅어과:
뱅어,국수뱅어,벚꽃뱅어,도화뱅어,젓뱅어,실뱅어,붕퉁뱅어
◎연어과:
사루기,열목어,연어,곱사연어,산천어,은연어,무지개송어,자치,홍송어,곤들메기
◎대구과:
모오캐
◎숭어과:
숭어,등줄숭어,가숭어
◎송사리과:
송사리,대륙송사리
◎학공치과:
줄공치,학공치
◎큰가시고기과:
큰가시고기,가시고기,두만가시고기,청가시고기,잔가시고기
◎실고기과:
실고기
◎드렁허리과:
드렁허리
◎양볼락과:
조피볼락
◎양태과:
양태
◎둑중개과:
둑중개,한둑중개,참둑중개,개구리꺽정이,꺽정이
◎농어과:
농어
◎꺽지과:
쏘가리,꺽저기,꺽지
◎검정우럭과:
블루길,배스,작은입우럭
◎시크리드과:
나일틸라피아
◎주둥치과:
주둥치
◎돛양태과:
강주걱양태
◎구굴무치과:
구굴무치
동◎사리과:
동사리,얼룩동사리,남방동사리,좀구굴치
◎망둑어과:
날망둑,꾹저구,왜꾹저구,문절망둑,왜풀망둑,흰발망둑,비늘흰발망둑,풀망둑,열동갈문절,애기망둑,무늬망둑,갈문망둑,밀어,민줄두줄망둑,황줄망둑,검정망둑,민물검정망둑,줄망둑,점줄망둑,날개망둑,모치망둑,제주모치망둑,꼬마청황,짱뚱어,말뚝망둥어,큰볏말뚝망둥어,미끈망둑,사백어,빨갱이,개소겡
◎버들붕어과:
버들붕어
◎가물치과:
가물치
◎가자미과:
돌가자미,강도다리,도다리
◎참서대과:
박대
◎참복과:
까치복어,매리복,복섬,흰점복,황복,자주복
★★<<천연기념물>> (6종)
1) 열목어: 강원 정선 정암사 서식지 (제73호) 경북 봉화 서식지(제75호)
◈열목어는 냉수성 어류로 시베리아 아무르 수계에서는 흔하지만 우리 나라가
서식하는 남방한계선이기 때문에 학술적으로 중요시해 천연기념물로 정함.
2) 무태장어: 제주도 천지연 서식지(제27호)
◈무태장어는 열대성 어류로 동남아시아 필리핀 등에서는 흔하지만 우리 나라가
서식 북방한계선이어서 천연기념물로 정해 보호함.
3) 어름치: 어름치(제259호) 금강 어름치 서식지(제238호)
4) 황쏘가리: 한강의 황쏘가리(제190호)
5) 미호종개: (제454호)
6) 꼬치동자개: (455호)
★★<<보호종>>
[멸종위기 1급] (4종)
1)흰수마자 2)퉁사리 3)얼룩새코미꾸리 4)감돌고기
[멸종위기 2급] (12종)
1)다묵장어 2)칠성장어 3)묵납자루 4)임실납자루 5)꾸구리 6)돌상어
7)모래주사 8)가는돌고기 9)가시고기 10)잔가시고기 11)둑중개 12)한둑중개
★★<<보호종에서 해제된 어류>> (4종)
1)좀수수치 2)부안종개 3)꺽저기 4)두우쟁이
★★<<멸종된 종>> (1종)
1) 서호납줄갱이
★★<<절멸된 종>> (1종)
1) 종어
★★<<우리 나라 고유종(특산종)>> (61종)
*각시붕어 *한강납줄개 *묵납자루 *칼납자루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임실납자루 *가시납지리 *가는돌고기 *감돌고기 *중고기 *참중고기 *몰개 *긴몰개 *참몰개 *점몰개 *돌마자 *여울마자 *왜매치 *?경모치 *배가사리 *모래주사 *어름치 *쉬리 *꾸구리 *돌상어 *흰수마자 *압록자그사니 *두만자그사니 *금강모치 *버들가지 *치리 *참종개 *줄종개 *점줄종개 *부안종개 *미호종개 *기름종개 *왕종개 *동방종개 *남방종개 *북방종개 *새코미꾸리 *얼룩새코미꾸리 *수수미꾸리 *좀수수치 *눈동자개 *꼬치동자개 *미유기 *자가사리 *퉁가리 *퉁사리 *꺽지 *동사리 *얼룩동사리 *자치 *사루기 *젓뱅어 *점줄망둑 *큰볏말뚝망둥어
★★<<북한에 서식하는 고유종>> (5종)
1) 칠성말배꼽 2) 압록자그사니 3) 두만자그사니 4)자치 5) 사루기
★★<<남한에는 없고 북한에 서식하는 어류>> (18종)
1)칠성장어과: 칠성말배곱, 압록강.
2)철갑상어과: 용상어, 북한의 동해안.
[모래무지아과]
3)모샘치, 북한 여러 하천.
4)북방중고기, 압록강.
5)압록자그사니, 압록강.
6)두만자그사니, 두만강.
[납자루아과]
7)납줄개,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황어아과]
8)야레, 압록강.두만강.
9)동버들개,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연어과]
10)사루기, 압록강 상류(한국 고유종)>
11)자치, 압록강 상류(한국 고유종).
12)곱사연어,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13)곤들매기, 압록강.두만강 상류.
14)홍송어,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큰가시고기과]
15)두만가시고기,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16)청가시고기, 북한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대구과]
17)모오캐, 압록강 상류.
[둑중개과]
18)참둑중개, 두만강.
★★<<우리 나라 학자들에 의해 신종으로 등록된 어류>> (19종)
1)참 종 개(Iksookimia koreenisis)
김익수 (1975)
2)왕 종 개(Iksookimia longicorpa)
김익수,최기철(1976)
3)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
전상린,최기철(1980)
4)점 몰 개(Squalidus multimaculatus)
전상린,hosoya(1984)
5)미 호 종 개(Iksookimia choii)
김익수,손영목(1984)
6)동 사 리(Odontobutis platycephala)
전상린,iwata(1985)
7)얼룩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전상린,iwata(1985)
8)부 안 종 개(Iksookimia pumila)
김익수,이완옥(1987)
9)퉁 사 리(Liobagrus obesus)
손영목,김익수,주일영(1987)
10)칼 납 자 루(Acheilognathus koreensis)
김익수,김치홍(1990)
11)임실납루(Acheilognathus somjinensis)
김익수,김치홍(1991)
12)점 줄 망 둑(Acentrogobius pellidebilis)
이용주,김익수(1992)
13)좀 수 수 치(Niwaella brevifasciata)
김익수,이완옥(1995)
14)큰볏말뚝망둥어(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이용주,최윤,유봉석(1995)
15)동 방 종 개(Iksookimia yongdokensis)
김익수,박종영(1997)
16)큰줄납자루(Acheilognathus majusculus)
김익수,양현(1999)
17)얼룩새코미꾸리(Koreocobitis naktongensis)
김익수,박종영(2000)
18)여 울 마 자(Microphysogobio rapidus)
채병수,양홍준(2000)
19)한강납줄개(Rhodeus pseudosericeus)
전상린(2001)
★★<<외국에서 도입된 종>> (12종)
1) 이스라엘잉어(이스라엘) 2)떡붕어(일본) 3)흑연(중국남부) 4)백연(아시아 동부) 5)초어(중국)
6)무지개송어(북미) 7)은연어(북미) 8)브루길(북미) 9)배스(북미) 10)작은입우럭(북미) 11)찬넬동자개
(북미) 12)나일틸라피아(아프리카)
★★<<서식 여부가 미상인 종>>
(기록에는 있지만 근래 출현 보고가 없어 서식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종)
철갑상어과 3종, 케톱치, 구굴무치
(한강에 분포한다는 모샘치도 남한에는 서식하지 않음)
★★<<담수어 구분>>
*1차담수어: 담수에만 살면서 해수의 염분농도를 견딜 수 없는 어류
*2차담수어: 담수에 주로 살지만 해수의 염분농도를 일시적 견딜 수 있는 어류
*회유성 어류: 삼투 조정 능력이 있어 해수와 육수를 왕래하는 어류
잉어목.메기목 등 1차담수어는 전체 담수어의 약 1/2 정도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