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이야기/수산 일반 상식

중국의 해마양식

제주해마외 함께 2007. 4. 12. 22:35
 

중국의 해마양식


  중국의 해마 연구는 50년대말~80년대초에 Hippocampus kelloggi(大海馬), Hippocampus japonicus(산호해마, 日本海馬), Hippocampus trimaculatus(三斑海馬)에 대하여, 80년대초~90년대중기에는 Hippocampus kelloggi(大海馬)에 대한 실험실 연구가 진행되었다. 현재 상업적으로 주로 양식되고 있는 종은 Hippocampus kuda(管海馬, Spotted seahorse)와 Hippocampus trimaculatus(三斑海馬, Longnose seahorse) 2종이다. 


1. 분류학적 위치

  ◦ 실고기과(Syngnathidae) 해마아과

  ◦ 세계적으로는 40여종이 알려져 있음

    - Hippocampus kuda Bleeker  복해마

    - Hippocampus trimaculatus Leach  점해마 

    - Hippocampus coronatus Temminck et Schlegel  해마  

    - Hippocampus japonicus Kaup  산호해마

    - Hippocampus histrix Kaup  가시해마

    - Hippocampus kelleggi


2. 주 양식종

  복해마(H. kuda)와 점해마(H. trimaculatus)는 남중국해에서 주로 양식되는 종이다. 그 주요한 외부 형태적 차이는 아래와 같다.

복해마(H. kuda)

점해마(H. trimaculatus)

Dorsal fin

17

20~21

Pectoral fin

16

--

Body rings

11+36+36

11+40+41

그림 1. 중국의 수계에서 발견되는 4종의 해마

 (a) Hippocampus kuda, (b) H. japonicus, (c) H. trimaculatus, and (d) H. histrix


3. 서식처

 1) 수온

  해마는 광온성이지만 해수온도의 변화는 성장과 생존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적정수온은 종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산호해마(H. japonicus)는 5~36℃이나 복해마(H. kuda)는 9~34℃, 점해마(H. trimaculatus)는 10~30℃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종에 있어서 적정수온은 약 28℃이다. 생식활동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은 매우 강하고 그 적정범위는 20~30℃이다. 해수수온이 20℃까지 증가할 때 어미의 성적활력은 매우 크게 증가한다. 수컷의 개체는 활동적으로 암컷을 찾는다. 교미 후 암컷은 알을 수컷의 보육낭속에 낳는다.

  수정된 난의 부화시간은 수온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수온 28~30℃에서는 10~20일, 수온 25℃에서는 14일에 부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수온이 20℃ 이하인 경우 수정안은 건강한 유생으로 발생하지 못하고 빈번히 육아낭 속에서 폐사한다. 이 경우에 어미도 또한 폐사하게 된다.


 2) 염분도

  해마는 광염성의 동물로서 염분도가 9~37ppt의 해수에 살수 있지만 염분도의 적응은 성숙단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어린새끼가 살수 잇는 가장 낮은 염분도는 15ppt인 반면 성체는 6 ppt의 염분도 이하에서도 견딜 수 있다.

 

 3) 용존산소

  해마는 천천히 움직이는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산소요구량은 비교적 높으며, 특히 부화기간에는 더욱 그러하다. 사육수조에 있어 용존산소는 항상 3㎖/L이상이어야 한다.


 4) 광도

  해마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위해서는 어떤 특정의 광도가 필요하다. 적정의 광도는 1,000~10,000 Lux이다. 너무 강하거나 너무 희미한 광도의 사육환경에서는 질병과 다른 이상이 종종 일어난다. 예를 들면 어두운 수조에서 사육된 해마는 수일 후에 눈이 먼다. 그러므로 어미에 있어 적정한 광도조건하에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 산란과 성장

 1) 성숙

  해마는 자웅이체로서 성숙연령은 종에 따라, 수온과 영양, 그리고 다른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다. 적정 사육조건에서 사육된 해마는 100일안에 성적성숙에 이른다. 표 1은 3종류의 해마에 대한 성숙연령을 나타내었다.


 2) 산란기

  산란기는 수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산란기의 적정수온은 20~28℃이다. 수온이 26~28℃로 증가함에 따라 산란성기에 도달한다.


 3) 산란량

  인공적으로 조절된 사육조건하에서 해마의 산란량은 자연에서 보다 더욱 높다. 어미의 70% 이상이 생식능력을 가지며, 성숙해마는 1년에 10~12번 재생산한다. 1마리의 암컷은 각 산란때 마다 수백 개의 알을 낳는다. 해마는 나이가 들어갈수록 포란량은 점차 줄어든다.


 4) 성장

  해마의 성장률은 다른 해산어류보다 비교적 빠르다. 유생은 3~4개월 내에 어미의 크기로 자란다(표 1).

 

표 1. 해마의 성장률과 성숙연령

성장률(체장 cm)

성  숙

1개월

2개월

3개월

성숙연령

(개월)

체장(cm)

점해마 

H. trimaculatus

6

9

11

4~10

12~14

복해마

H. kuda

4.5

7

9

9~12

12~14

산호해마

H. japonicus

3

4.5

5.5

3~8

4.5~5.5


5. 사육방법

 1) 사육장소의 선정

  사육장소는 해수 양수시설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먹이생물의 수집을 위하여 가능한 해변에 가까운 곳을 선정해야 한다. 해마는 죽은 먹이나 배합사료보다 생먹이를 선호한다. 추가하여 염분도와 깨끗한 해수가 가장 중요한 2가지 환경요인이다. 실험의 결과 염분도는 15~35ppt의 범위여야 한다. 


 2) 사육수조

  집약적인 친어와 유생의 사육을 위해서는 소규모 부화수조가 필요하다. 수조의 저면적은 약 2㎡에 0.6~1.0m로 한다. 수조의 저면과 벽면은 검정색으로 해야한다. 수조의 두 끝은 각각 입수와 출수구를 낸다. 육아 수조는 특별히 7~15일령의 어린새끼를 사육하기 위해 사용하며 면적은 2~6㎡에 깊이는 0.8~1.0m로 한다. 야외에 설치한 수조는 직사광선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를 덮는다. 이후의 성장을 위해 사육수조는 면적 5~20㎡에 깊이 0.8~1.0m사이의 아주 큰 수조를 사용한다. 


 3) 먹 이

  해마의 성공적 양식의 관건은 양호한 성장과 발달을 보장하는 적합한 먹이이다. 해마가 선호하는 먹이의 종류는 소형 갑각류와 Paracalanus sp., Sckmakeria sp., Acartia sp., Oithona sp., Neomysis sp., Palaemone sp., Periclimenes sp. 등 갑각류의 유생이다. 그러므로 해마 양식은 이들이나 유사한 먹이생물의 인공적인 배양을 해야 한다.


표 2. 복해마와 점해마의 먹이와 성장의 관계

먹   이 

복해마(H. kuda)

점해마(H. trimaculatus)

성장률 (%)

%

성장률 (%)

%

생 새 우

25

100

35

100

마른새우

20

80

29

83

염장새우 

18

72

22

63

생어류육

18

72

20

57

  먹이생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건조새우나 생어류육과 같은 먹이를 보조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실험의 결과 건조 또는 염장 새우육은 어류육보다 더 양호한 성장을 보였다.  


 4) 사육관리

  사육밀도는 해마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부화 직후의 유생 사육밀도는  3,000/㎥ 까지 사육이 가능하지만 체장이 6cm 이상이 되면 200~300/㎥으로 밀도를 줄여야 한다.

  환수율은 계절, 기후, 그리고 다른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다. 여름동안 환수율은 전체 수량의 적어도 30% 이상이어야 하나, 겨울에는 2일이나 3일마다 20~30%로 줄일 수 있다. 

  꾸준한 수질의 모니터링은 가장 중요한 일상적인 활동이다. 해마양식을 위한 적합한 수질기준은 아래와 같다.

  ○ 염분 : 15~35ppt

  ○ 수온 : 20~28℃

  ○ pH : 6.5~8.0

  ○ DO : > 4mg/L

6. 수확과 가공

  중국에서 해마는 대중적인 강장제로 사용된다. 해마의 크기는 주된 질의 지표가 됨으로 더욱 크게 사육하는 것은 더욱 이익이 된다. 수확은 보통 1년 후에 이루어진다. 수확 후 해마는 수 시간 동안 담수에 담아 씻은 다음 햇볕에 말린다. 중국에서 또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말린 해마는 약 US$ 400/kg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