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이야기/수산 일반 상식

일본 수산업 개요

제주해마외 함께 2007. 4. 12. 22:09
 

 


□  수산업 주요 현황

일반현황('02년)

어업․ 양식업 생산량('03년)

해안선 총연장(km)

33,468

합 계(만톤)

608

어항수(개)

2,927*

해면어업 소계

472

어선척수(척)

343,411

 (원양어업)

(60)

어업경영체수(경영체)

136,465

 (근해어업)

(254)

어업취업자수(명)

243,330

 (연안어업)

(158)

연안 어업협동조합(개)

1,607

해면양식어업

125

어업관리조직(개소)

1,608*

내수면어업․양식업

11

* 어항수는 '04년, 자원관리형어업의 어업관리 조직수는 '03년 자료임


□  생산현황

 ○ 일본 어업생산량은 '02년기준,  5,960천톤으로 중국(53,427천톤), 페루(8,782천톤), 인도(6,061천톤)에 이어 세계 4위의 생산국임

 ○ 해면어업 주요 어종별 생산량('03년)

                                                             (단위 : 천톤)

   

구분

가다랑어

연어류

정어리

고등어 

꽁치

명태

가리비 

생산량 

326

265

517

344

262

219

344

 ○ 해면양식업 주요어종별 어획량('03년)

                                                             (단위 : 천톤)

   

구분

방어류

김류

참돔

가리비 

넙치

다시마

미역

생산량 

156

436

83

257

222

6

51

59

□  수산물 수급과 유통

 ○ 어패류 수급('02년)

                                                             (단위 : 천톤)

국내생산량

수입량

수출량

국내소비량

5,159

6,748

443

11,107

* 해조류는 제외된 수급량임


 ○ 어시장수와 취급금액('98년)

어시장

수산물

도매업자수

수산물

매수인수

시장수

어획량

반입량

년간취급금액

985시장

5,299천톤

804천톤

169천억원

1,053업자

37,533업자

* 5년에 1회 조사되고 있으며, 현재 '03년 조사된 자료 미공표


□  주요 자원관리 정책

 ○ TAC(총허용어획량) 제도 도입 및 운용

   - 도입시기 : UN해양법에 근거하여 '97년부터 도입

   - 대상종(7종) : 꽁치, 명태, 전갱이, 정어리, 고등어, 오징어, 대게

 ○ 자원회복계획 실시 : '02년부터 도입

   - 자원이 감소하는 어종에 대해 국가, 지자체 및 어업인이 협력하여 필요한 대책 수립

 ○ 자원관리형 어업(우리나라의 자율관리어업과 유사) 실시

   - 1970년대 200해리수역설정, 석유위기, 어가하락에 대응하여 어업자 자율적인 자원관리형어업이 추진되었고,

  - '83년 정부의 추진방침이 확정되어, '84년부터 정책이 추진됨